[문제]
0과 1로 이루어진 어떤 문자열 x에 대한 이진 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.
- x의 모든 0을 제거합니다.
- x의 길이를 c라고 하면, x를 "c를 2진법으로 표현한 문자열"로 바꿉니다.
예를 들어, x = "0111010"이라면, x에 이진 변환을 가하면 x = "0111010" -> "1111" -> "100" 이 됩니다.
0과 1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s가 "1"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s에 이진 변환을 가했을 때, 이진 변환의 횟수와 변환 과정에서 제거된 모든 0의 개수를 각각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70129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🎨 풀이
💡 전체 코드
def solution(s):
answer = []
change_count = 0
zero_count = 0
while(s != '1'):
zero_count += s.count('0')
s = format(int(len(s)-s.count('0')),'b')
change_count += 1
answer.append(change_count)
answer.append(zero_count)
return answer
> 핵심 : "0 제거 & 길이에 맞게 문자열 바꾸기" 를 s가 1이 될 때까지 반복하면 된다.
🍦 코드 설명 (실행 순서대로 나열)
#solution
answer = []
change_count = 0
zero_count = 0
1. 변수를 초기화한다.
- change_count : 이진 변환 횟수
- zero_count : 제거된 0의 개수
while(s != '1'):
zero_count += s.count('0')
s = format(int(len(s)-s.count('0')),'b')
change_count += 1
2. s가 1이 될 때까지 아래의 과정을 반복한다. (3번 ~ 5번)
3. s에 있는 0의 개수를 zero_count에 더한다.
4. 현재 s에서 0의 개수를 뺀 값을 2진수로 바꾼 후 s에 다시 넣어준다.
5. change_count에 1을 더한다.
- 이진 변환을 한 번 수행한 상태이기 때문이다.
answer.append(change_count)
answer.append(zero_count)
return answer
6. answer에 change_count와 zero_count를 차례대로 넣어준 후, return한다.

끝~
⭐ 느낀점
> 글 쓰는 게 너무 재밌다. 글씨 바꾸길 잘한 것 같다~ 이 문제도 규칙이 딱 나와있긴 했는데, 그래도 좀 창의적으로 잘 푼 것 같다. 0 카운트 한 후 바로 빼버린건 좀 잘한 것 같다. ㅋㅋㅋㅋㅋㅎㅎ 고생했다~
'🎲 알고리즘 공부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 / Level 1]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(파이썬) (0) | 2022.09.16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 / Level 1] 성격 유형 검사하기 (파이썬) (0) | 2022.09.15 |
[DAY 103 - 프로그래머스 / Level 2]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(파이썬) (0) | 2022.07.03 |
[프로그래머스 / Level 1] 정수 제곱근 판별 (파이썬) (0) | 2022.05.14 |
[프로그래머스 / Level 1] 최소직사각형 (파이썬) (0) | 2022.05.13 |